근성프로그래머 이준형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근성프로그래머 이준형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36)
    • 과제 (27)
      • 객체지향프로그래밍(C++) (4)
      • 디지털논리회로(verilog) (6)
    • 공부 (41)
      • AI (5)
      • Be BE (1)
      • Linux (2)
      • 인터넷 (2)
      • 알고리즘 (1)
      • eBPF (0)
      • Rust (0)
      • PyGAD (1)
    • 운동 (2)
      • 야구대회 (1)
      • 야구연습 (1)
      • 보통운동 (0)
    • 일상 (6)
      • 맛집탐방 (1)
      • 여행 (5)
    • 공지 (0)
    • 책 리뷰 (60)
      • 생활코딩! HTML+CSS+자바스크립트 (20)
      • 이것이 취업을 위한 코딩테스트다 (8)
      • Do it! 코틀린 프로그래밍 (12)
      • 생활코딩! 자바 프로그래밍 입문 (20)

검색 레이어

근성프로그래머 이준형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분류 전체보기

  • 5일차 - 이진 탐색

    2024.01.03 by 근성

  • 3주차 - 함수와 함수형 프로그래밍

    2024.01.02 by 근성

  • 4일차 - 프로그래밍이란? & 디버거

    2024.01.02 by 근성

  • [LeetCode][Python] 7. Reverse Integer

    2024.01.02 by 근성

  • [Programmers][Python] H-Index

    2024.01.02 by 근성

  • 5일차 - HTML 마무리

    2024.01.02 by 근성

  • 4일차 - 정렬

    2024.01.02 by 근성

  • 4일차 - 웹

    2023.12.27 by 근성

5일차 - 이진 탐색

순차 탐색(Sequential Search) 리스트 안에 있는 특정한 데이터를 찾기 위해 앞에서부터 데이터를 하나씩 차례대로 확인하는 방법이다. 프로그래밍언어를 배우는데 많이 실습 해봤을 탐색이다. 이진 탐색(Binary Search) 찾으려는 데이터와 중간점 위치에 있는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비교해서 원하는 데이터를 찾는 방법 시간 복잡도 : O(logN) 재귀함수로 구현하는 방법과 반복문으로 구현하는 방법이있다. 먼저 재귀함수로 구현하는 방법이다. # 재귀 함수로 구현한 이진 탐색 소스코드 def binary_search(array, target, start, end): if start > end: return None mid = (start + end) // 2 # 찾은 경우 반환 if array[m..

책 리뷰/이것이 취업을 위한 코딩테스트다 2024. 1. 3. 12:58

3주차 - 함수와 함수형 프로그래밍

kotlin은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함수를 작성한다. fun 함수이름([변수 이름: 자료형, 변수 이름: 자료형..]): [반환값의 자료형]{ 표현식... [return 반환값] } 여기서 인자와 매개변수에 대한 개념을 다시 확인하고 가자. 매개변수와 인자는 같은 역할을 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같은 것으로 착각하기 쉽다. 하지만 이 둘은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개념이다. 함수를 선언할 때는 매개변수라고 부르고 함수를 호출할 때는 인자라고 부른다. 즉, sum() 함수의 선언 부분의 a: Int, b: Int는 매개변수이고 main() 함수에서 sum() 함수를 호출할 때 sum(3, 2)에서 3, 2는 인자입니다. 이 인자는 함수 선언 부분에 있는 a와 b에 복사되어 전달됩니다. 함수의 스택 프레임..

책 리뷰/Do it! 코틀린 프로그래밍 2024. 1. 2. 19:17

4일차 - 프로그래밍이란? & 디버거

책에서 프로그램이란 시간 순서에 따라 어떤 비슷한 성격을 가진 일들이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 임베디드 SW코드로 프로그래밍이 무엇인지 보여주었다. 버그라는 것은 우리가 작성한 코드의 어떤 의도하지 않은 문제를 의미한다. 버그를 잡는 행위를 디버깅이라고 하고, 디버깅을 할 때 사용하는 도구를 디버거라고 부른다. 멈추고 싶은 부분을 브레이크 포인트로 걸고, 퍼스펙티브 아이콘들을 통해서 디버깅을 진행 할 수 있다. 예전에 임베디드 SW회사에서 계약직으로 일을 했을 때, 스텝오버, CPU reset, HW reset등을 활용해서 원하던 결과를 도출 했던 경험이 있는데, 비교해가면서 보니 책의 이 부분이 참 마음에 들었다.

책 리뷰/생활코딩! 자바 프로그래밍 입문 2024. 1. 2. 18:02

[LeetCode][Python] 7. Reverse Integer

https://leetcode.com/problems/reverse-integer/description/ Reverse Integer - LeetCode Can you solve this real interview question? Reverse Integer - Given a signed 32-bit integer x, return x with its digits reversed. If reversing x causes the value to go outside the signed 32-bit integer range [-231, 231 - 1], then return 0. Assume the envir leetcode.com 위 문제는 입력받은 수를 수를 역순으로 바꾸는 문제이다. [-2^31, 2^..

공부 2024. 1. 2. 14:18

[Programmers][Python] H-Index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2747?language=python3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발표한 논문 n편 중, h번 이상 인용된 논문이 h편 이상이고 나머지 논문이 h번 이하 인용되었다면 h의 최댓값이 이 과학자의 H-Index라고 한다. H-Index를 구하는게 문제이다. 입출력 예시가 위와 같이 주어지는데, 정렬을 한다면, 접근이 더 쉬워질것이라 생각했다. 그 후, enumerate를 통한 반복문으로 list의 인덱스와 값 모두 접근을 한다. 인덱스..

공부 2024. 1. 2. 14:13

5일차 - HTML 마무리

앞에서 배운 HTML의 내용 마무리 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제일 기억이 남는 부분은 우리가 한개의 태그를 바꾸기 위해서 많은 양의 코드를 수정해야하는데, 그것을 바꾸기 위해서 백엔드 기술이 필요하다. 백엔드 기술을 통해 파일 하나를 변경할 때 수억 개의 웹 페이지가 동시에 변경하게 할 수 있다. 그 외에 부록으로 동영상 삽입, 댓글 기능 추가, 채팅 기능 추가, 방문자 분석기가 있다. 나중에 필요하면 찾아보자

책 리뷰/생활코딩! HTML+CSS+자바스크립트 2024. 1. 2. 14:05

4일차 - 정렬

정렬이란 데이터를 특정한 기준에 따라서 순서대로 나열하는 것을 말한다. 본 책에서는 선택, 삽입, 퀵, 계수 정렬을 다루고, 파이썬의 정렬 라이브러리를 다룬다. 1. 선택 정렬 가장 작은 데이터를 선택해 맨 앞에 있는 데이터와 바꾸고, 그 다음 작은 데이터를 선택해 앞에서 두 번째 데이터와 바꾸는 과정을 반복하는것. 가장 작은 것을 선택한다는 의미에서 선택정렬이라고 한다. 시간복잡도는 O(N^2)이다. array = [7, 5, 9, 0, 3, 1, 6, 2, 4, 8] for i in range(len(array)): min_index = i for j in range(i + 1, len(array)): if array[min_index] > array[j]: min_index = j array[i],..

책 리뷰/이것이 취업을 위한 코딩테스트다 2024. 1. 2. 12:56

4일차 - 웹

클라이언트와 서버관계에 대해서 배웠다. 클라이언트가 요구하는 정보를 request로 서버에 보내주면, 거기에 대한 응답을 서버가 client에게 response로 보내준다. 인터넷이 연결된 컴퓨터 하나하나를 호스트라고 한다. 그리고 웹 서버를 운영하기 위한 컴퓨터, 다시 말해 호스트를 빌려주는 사업을 호스팅이라고 한다. 요즘에는 클라우드라고도 부르는데, 호스팅 중에서 컴퓨터의 웹서버와 같이 웹을 동작시키는데 필요한 소프트웨얶지 설치해서 빌려주는 비즈니스를 웹 호스팅이라고 부른다. 깃허브를 통해 브라우저를 무료 웹호스팅을 할 수 있다. 또 개인 PC에서 웹 서버를 운영할 수 있는데, chrome webstore에 Web Server for Chrome을 사용하는 방법이있다. 자세한 부분보다는 이러한 부분도..

책 리뷰/생활코딩! HTML+CSS+자바스크립트 2023. 12. 27. 17:12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5 6 7 8 9 10 11 ··· 17
다음
TISTORY
근성프로그래머 이준형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